신경 치료에 대해

자주하는 질문들


     신경 치료는

          왜 여러 번 해야 하나요?

  

          신경 치료를 한 번에 완료하는 것은

          감염 증상이 거의 없는 앞니나,

          유치에서 치아 신경의 일부만 절단하는

          경우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감염된 조직을 완벽히 제거하기 위해

          3~5회의 치료가 필요하며,

          내원 간격은 3~7일 정도로 두게 됩니다.


    신경 치료를 하면 치아 신경이

          죽어서 맛을 못 느끼지 않나요?

  

          치아 신경에는 치아 내부에서

          온도와 통증을 느끼는 신경과

          치아 뿌리를 둘러싸고 음식의 질감을

          느끼는 신경이 있습니다.

          신경 치료는 이중 감염된 신경만

          제거하여 통증을 없애는 것으로,

          신경 치료 후에도 음식의 맛을

          느끼는 데에는 전혀 지장이 없습니다.

          또한, 신경 치료는 치아를

          완전히 죽이는 치료가 아닙니다.


    신경 치료하고 나서

          왜 이를 씌워야 하나요?

  

          신경 치료 후 치아 내부는 비어 있어

          충격에 매우 약한 상태가 됩니다.

          위아래 치아는 하루에 1,200번 정도

          부딪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는 단단한

          음식물이 아닌 일반적인 식사만으로도

          시간이 지나면 치아가 부러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치아를 보호하기 위해

          신경 치료 후에는 이를 씌워주는 것이

          좋습니다.


잇몸병(풍치)에 대해

자주하는 질문들


     시중에 판매하고 있는

          잇몸약을 먹으면 효과가 있나요?

  

          치과 치료를 받으면서 잇몸약을

          드시면 잇몸질환의 증상 완화나

          예방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실제로 잇몸병을 치료하는 효과는

          미비합니다.

          잇몸약은 잇몸질환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죽이는 약이 아닌 뼈에

          영양분을 공급해주는 영양제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잇몸 치료는 어떤 것이고

          풍치는 치료가 안 되나요?

  

          잇몸병(풍치, 치주질환)으로

          잇몸뼈가 내려앉거나 붓게 되면

          그 공간에 염증 조직이 쌓이게 됩니다.

          잇몸 치료는 치아와 잇몸 사이의

          염증 조직을 제거하는 것으로,

          충치 치료와 함께 치과에서

          가장 흔한 치료입니다.

          또한, 치주질환은 만성질환으로

          초기에는 완치가 가능하지만

          중기 이상의 치주질환이라면

          더 이상 나빠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치료의 목적입니다.


     잇몸이 안 좋은 경우

          어떻게 관리해야 하나요?

  

          치주질환이 무서운 점은

          심한 통증 없이 병이 진행되어,

          뒤늦게 이상을 느껴 치과에

          내원하셨을 때에는 해당되는 치아는

          물론이고 인접한 치아까지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1년에 한번 정기적인 검진과

          스케일링으로 치주질환을 예방해야

          합니다.

          또한,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해

          치주질환이 시작되는 이와

          잇몸 경계부를 꼼꼼하게 닦아주는

          것이 좋습니다.